요즘 전기차 구매 관련해서 고민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올해는 전기차 구매 시 받을 수 있는 지원금 조건이 좀 더 까다로워졌습니다. 정확히 어떤 부분이 개편되어 작년과 달라졌는지 확인해 보고 지원받을 수 있는 국고보조금과 지자체별 보조금 지원금액 확인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 주요 내용
전기차 보조금 정책은 매년 변화해 왔으며 올해 역시 원자재 가격 급등과 배터리 가격 상승이 동반으로 이루어지면서 보조금 지급 기준이 상향되었고 금액 역시 축소되었습니다.
구분 | 2022년 | 2023년 | 변경점 |
최대 국고 보조금 | 최대 700만 원 | 최대 680만 원 | -20만 원 |
차급별 기본 국고 보조금 |
초소형 최대 400만 원 | 초소형 최대 350만 원 | -50만 원 |
소형 최대 600만 원 | 소형 최대 400만 원 | -200만 원 | |
중대형 최대 600만 원 | 중대형 최대 500만 원 | -100만 원 | |
차량가격 조건 | 5,500만원 미만 100% | 5,700만 원 미만 100% | +200만 원 |
8,500만원 이하 50% | 유지 | - | |
8,500만원 초과 0% | 유지 | - | |
추가 보조금 | 목표이행보조금 70만원 | 목표이행보조금 140만원 | +70만원 |
에너지효율보조금 30만원 | 에너지효율보조금 폐지 | 폐지 | |
- | 충전인프라보조금 20만원 | 신설 | |
- | 혁신기술보조금 20만원 | 신설 | |
성능평가 기준강화 | 1회 충전 150km 미만 | 1회 충전 150km 미만 (보조금 약 20% 감액) |
- |
1회 충전 400km 초과까지 차등 적용 | 1회 충전 450km 초과까지 차등 적용 | +50km | |
사후관리 역량평가 | - | 사후관리 역량 평가 1~3등급 각각 1.0 / 0.9 / 0.8 계수 적용 |
신설 |
저소득층 지원 | 저소득층·소상공인 10% 추가 지원 | 유지(초소형 20% 지원 확대) | 초소형 20% 지원 |
전기차 보조금은 크게 정부에서 지원하는 국고 보조금과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지자체 보조금으로 나누어집니다. 먼저 국고 보조금은 최대 지원 금액이 680만 원으로 조정되었으며 차급별 기준 지원금액 부분에서도 크게 축소되었습니다.
다만 크게 축소된 만큼 보조금 지원 대수를 기존 16만 대에서 21만 5,000대로 확대되어 더 많은 소비자들이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래 지원금액 확인 배너를 통해 제조/수입사/차종별로 국고보조금 지원금액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보조금 부분에서는 기존 목표이행보조금이 140만 원으로 상향되었으며 기존 에너지효율보조금은 폐지되었습니다. 또한 최근 3년 안에 전기차 급속충전기를 100대 이상 설치한 회사 브랜드(테슬라만 해당)의 전기차 구매 시 충전인프라보조금 2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혁신 기술을 (ESS, 에너지 저장 장치 / V2L 기능) 탑재한 차량 구매 시에도 2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현대 아이오닉 5,6, 기아 EV6 등의 차량이 해당됩니다.
전기차 AS기반 시설이 부족함에 따라 사후관리 역량평가 기준이 신설되었습니다. 평가 등급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급합니다.
2023년 전기차 지자체 보조금 지원금액 확인하기
위에서 설명드린 국고보조금 외에도 각 지자체별로 전기차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지자체 보조금 지원금액 확인 배너를 통해 각 지자체별 / 차량모델별로 지원금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위 배너를 클릭하시면 아래 이미지처럼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중간 부분의 '지자체 차종별 보조금'을 클릭하시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얼마를 보조받을 수 있는지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다른 지자체가 더 많은 지원금을 지급한다 해서 위장 전입을 할 경우에는 적발 시 지원금이 전부 취소되며 벌금을 물어야 하게 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하며
전기차 구매를 생각하시는 분들은 본인이 국고, 지자체 보조금을 얼마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조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보조금 신청 후 2개월 안에 차를 반드시 출고해야 하기 때문에 먼저 차량 계약과 출고일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전기차를 운행하게 되면 반드시 필요한 아래 배너의 환경부 전기차 충전 카드에 관한 내용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전기차 보조금 지원 관련 추천글
환경부 전기차 충전 카드 꼭 신청하세요! (+발급 방법 4단계 간편 정리)
환경부 전기차 충전 카드는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발급받을 수 있는 저공해차 충전 카드입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제 전기
complex-space.tistory.com
2023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혜택, 정부 기여금 등 주요 내용 총정리
2023년 6월부터 신청 예정인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지원금을 포함해 5년간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이전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에 비해 소득 조건이 완화되었으며
complex-space.tistory.com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개편 내용, 지원 조건, 신청방법 등 주요 내용 총정리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동행카드와 함께 사회초년생들에게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던 대표적인 정책입니다. 올해부터 청년동행카드는 폐지되었고 청년내일채움공제도 예산과 업종이 축소되
complex-space.tistory.com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가입 조건, 혜택 등 주요 내용 총정리(선정 여부 진단 계산기
청년내일저축계좌는 6월부터 신청예정인 청년도약계좌, 올해 새롭게 개편된 청년내일채움공제와 함께 TOP3 청년금융상품입니다. 월 최소 10만 원 저축을 통해 3년 후 만기 시 최대 1,440만 원 + 이
complex-spac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