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이스왑의 반감기와 FTX 사태를 거치면서 시장상황이 안 좋다 보니 KSP 가격과 홀더들이 받던 채굴 보상 APR(연이율)도 많이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클레이스왑 반감기는 홀더들에게 상당히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KSP의 가격 상승을 위한 반감기, 소각, 바이백, 포지션 예치를 알아보겠습니다.

1. KSP Allocation 6년간 분배 차트(반감기를 통한 유통량 감소 효과)
Year | Daily Mining Volume | Yearly Volume | Total Volume | Notes |
1 | 86,400 KSP | 31,536,000 KSP | 31,536,000 KSP | 15% 커미션 |
2 | 86,400 KSP | 31,536,000 KSP | 63,072,000 KSP | 15% 커미션 |
3 | 43,200 KSP | 15,768,000 KSP | 78,840,000 KSP | Halved(반감기) |
4 | 43,200 KSP | 15,768,000 KSP | 94,608,000 KSP | - |
5 | 21,600 KSP | 7,884,000 KSP | 102,492,000 KSP | Halved(반감기) |
6 | 21,600 KSP | 7,884,000 KSP | 110,376,000 KSP | - |
KSP의 총 발행량은 126,144,000 KSP이고 2020년 11월 11일 날 첫 KSP 분배가 시작되었습니다. 2022년 11월 14일 #Block 106479095에 반감기가 적용되었습니다. 클레이 스왑은 비트코인의 반감기 철학에 영감을 받아서 만들어졌으며 비트코인과는 다르게 2년을 주기로 반감기가 적용됩니다. 참고로 처음 2년간 총발행량의 50% 가 발행됩니다.
현재는 3년 차에 해당하며 일 채굴량 43,200 KSP가 참여자들에게 100% 인센티브가 돌아갑니다. 1~2년 차에는 채굴량 중 15%가 클레이스왑 개발사인 오지스에게 '개발 및 안정화 커미션' 명목으로 분배되었습니다.
반감기를 통해 보상이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시장에 나오는 KSP의 유통량이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공급량이 줄어들면 가치가 오르는 당연한 시장의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KSP 바이백&소각을 통한 유통량 감소 효과와 포지션 예치를 통한 유동성 증가
클레이스왑은 모든 풀에서 발생한 거래 수수료의 50%를 KSP 바이백 펀드로 조성하여 KSP 소각에 사용합니다. 여기서 말한 모든 풀이란 KSP 스테이킹, 단일 예치, 페어 예치, 플러스 예치 등 클레이스왑 DEX거래소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매일 소각을 진행하게 되며 소각을 함에 따라 유통량이 줄어들게 되고 KSP는 희소해지게 되어 가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클레이스왑의 소각 및 바이백 현황과 최근 소각 내역입니다. 클레이스왑은 첫 분배가 시작한 이후 가격 상승이 있었지만 꾸준하게 가격 하락이 이루어졌습니다.
가장 큰 이유가 발행되는 KSP는 많은데 사용처가 마땅히 없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큰 하락이 발생했습니다. 결국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서는 유동성이 증가해야 합니다.
클레이스왑은 얼마 전 포지션 예치를 출시했습니다. 포지션 예치는 사용자가 레버리지를 사용해서 온 체인에서 롱/숏 포지션을 오픈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실제로 포지션 예치를 오픈함으로 인해서 유의미한 수치의 유동성이 증가했습니다.
유동성이 많아짐에 따라 거래 수수료의 50%를 소각에 사용하니 KSP의 가격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포지션 예치 출시 후 클레이스왑은 저점을 다지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800원 중후반의 가격을 꾸준히 잘 유지해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3. 마무리하며
현재 글을 작성중인 시점에서 KSP의 가격은 880원으로 좋은 상황은 아닙니다. 최근 루나와 FTX 사태로 인해서 중앙화 거래소들이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많이 잃었습니다. 코인 시장의 분위기가 좋았다면 반감기라는 재료가 가격에 반영되었겠지만 장이 워낙 안 좋다 보니 묻힌 느낌이 있습니다.
하지만 클레이스왑이 23년 목표로 설정한 포지션 예치로 인한 유동성 증가를 통해 소각량이 증가되고 점점 KSP가 희소해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 보겠습니다.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 창펑 자오는 "10년 후 디파이(Defi, 탈중앙 화금 융)가 씨 파이(Cefi, 중앙화 금융)를 추월할 것" 2020년도에 '5년 뒤 중앙화 거래소는 살아남을까?'를 주제로 한 화상 대담에서 말한 바 있습니다.
창펑 자오가 말한 대로 디파이 시장이 점점 커지게 된다면 국내에서 대표 DEX로 자리 잡은 클레이스왑은 꾸준히 가격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함께 참고할 수 있는 포스팅
클레이튼 원스톱 디파이 플랫폼 스왑스캐너 장점 6가지
해외에서 유명한 스카이스캐너는 다들 아실 겁니다. 저가 항공권의 가격을 비교해 주고 전 세계 항공권 예약까지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스카이스캐너의 강점인 '가격 비교'와 '결제'를 한 번에...
complex-space.tistory.com
파이 코인 기술력과 미래 전망, 스마트폰으로 무료 채굴 하자
파이 코인은 스마트폰으로 쉽게 채굴할 수 있는 Pos(지분 증명) 방식의 암호화폐입니다. 전 세계 4000만 명의 유저수를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 기반 차세대 암호화폐 파이 코인 기술력과 미래 전망...
complex-space.tistory.com
블록체인 기술 미래 활용 방안 - 금융, 공급망, 의료 산업
블록체인 기술은 우리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 의료 및 정부와 같은 다양한 산업에서 미래에 어떻게 사용되며 잠재...
complex-space.tistory.com
비영구적 손실과 대응법에 대해 알아보자
비영구적 손실은 탈중앙화금융(Defi)을 처음 접해본 투자자들이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거래를 하다 본인이 예치한 코인의 개수가 변화하며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고 많이 당황하게 만...
complex-space.tistory.com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탈중앙화 금융, 디파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탈중앙화 금융인 디파이(Defi)는 투자자들이 흔히 알고 있는 중앙화된 거래소인 업비트, 빗썸, 코인원과 반대되는 금융 시스템입니다. 즉, 중앙화된 운영 주체 없이 결제,...
complex-spac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