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복지 정보/가상화폐 정보

비영구적 손실과 대응법에 대해 알아보자

Jungbyul 2022. 11. 30.

비영구적 손실은 탈중앙화금융(Defi)을 이용하는 투자자들이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투자를 할 때 흔히 발생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몇 가지 예시를 통해 비영구적 손실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대응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비영구적 손실이란?

비영구적 손실은 우리가 탈중앙화 거래소인 DEX(Decentralize Exchange)의 풀에 한 쌍의 코인을 페어 예치했을 때 최초 공급했을 시 비율과 달라짐으로써 발생하는 손실을 뜻합니다. 단일 예치 시에는 발생하지 않지만 두 개의 코인을 묶는 페어 예치(LP) 시에만 발생하게 됩니다.

 

DEX거래소에 스테이킹을 진행하실 때 단일 예치와 페어 예치 중에서 페어 예치가 더 높은 연이율(APR)을 제공하기 때문에 무작정 페어 예치를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디파이를 처음 접하거나 초보 투자자분들께서는 비영구적 손실이란 개념을 확실히 알고 투자하셔야 낭패를 당하지 않기 때문에 꼭 공부하셔야 합니다.

비영구적 손실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전제조건으로 토큰 A의 가격을 500원, 토큰 B의 가격을 250원으로 가정해 보겠습니다. 페어 예치의 핵심은 처음 예치할 때 두 개의 코인 가치가 1:1 비율로 묶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A의 가격이 B의 가격에 2배이기 때문에 토큰 A 1개와 토큰 B 2개의 비율로 같이 묶여야 합니다. 이 개념을 이해하시면서 아래 예시를 보겠습니다. 계산은 제가 자주 사용하는 비영구적 손실을 계산해 주는 계산기를 이용하겠습니다.

 

예시 1. 토큰 A의 가격이 1.5배 상승해서 750원이 되고, 토큰 B의 가격은 변동 없이 250원인 경우

비영구적-손실-계산
예시 1. 비영구적 손실 계산

비영구적 손실의 핵심은 비율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처음 가격에서 토큰 A와 토큰 B는 1:2의 비율이지만 토큰 A의 가격이 1.5배 상승함에 따라 비율이 조정되게 되었습니다. 결과표를 보면 토큰 A 1개와 토큰 B 2개를 투입시켰을 때 가격 변화로 인해서 토큰 A와 토큰 B 가 각각 0.82개, 2.45개의 비율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가격적인 측면을 봤을 때는 토큰 A, B를 페어 예치하지 않고 각각 단일 예치를 했을 경우 가격 상승을 통해 총가치는 1250달러이지만, 페어 예치의 경우 개수 변화로 1224.74달러로 계산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5.26달러를 상대적으로 손실을 보았고, 비영구적 손실(Impermanent Loss)이 2.02% 발생하였습니다. 다음 예시를 보겠습니다.

 

예시 2. 토큰 A의 가격과 토큰 B의 가격이 동일하게 2배 상승한 경우

비영구적-손실-계산
예시 2. 비영구적 손실 계산

아까 제가 비영구적 손실의 핵심이 비율이 달라지는 거라고 했었죠. 토큰 A와 B 둘 다 동일하게 상승해서 비율에 변화가 생기지 않았기 때문에 비영구적 손실은 제로입니다. 단일 예치보다 페어 예치가 연이율(APR)이 크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이 말은 페어 예치를 할 때에는 토큰의 가격이 거의 비슷하게 변화하는 것을 잘 찾아서 예치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종합해 보면 투자를 하실 때 첫 번째로는 당연히 유망한 코인을 2개가량 잘 선별을 해야 하고, 오래 지켜봤는데 가격이 비슷하게 변화한다 싶은 코인 2개를 같이 묶어 페어로 예치를 하면 높은 연이율을 받으면서 유망 코인들의 가격 상승까지 노려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격이 동일하게 움직인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바로 횡보장일 때 유망한 코인을 잘 선별해서 예치해 놓으시고 보상을 지속적으로 받으면서 코인의 개수를 늘리고 추후 가격 상승이 이루어진다면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마지막 예시를 알아보겠습니다.

예시 3. 토큰 A의 가격이 5배 상승해 2500원이 되고, 토큰 B의 가격은 변동 없이 250원인 경우

비영구적-손실-계산
예시 3. 비영구적 손실 계산

예시 3은 비영구적 손실이 무시하기에는 크다는 것을 알려드리기 위해 조금은 극단적으로 설정했습니다. 토큰 A의 경우 혼자 5배라는 큰 상승을 해서 2500원이 되었습니다. 토큰 A의 개수는 1개에서 0.45개의 비율로 변화하였고 토큰 B는 2개에서 4.47개의 비율로 변화하였습니다. 대략 25.46%의 비영구적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각각 단일 예치했을 때와 비교해서 결과표를 참고하시면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비영구적 손실은 비율이 크게 변화하였을 경우 손실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하락장에서의 예시를 들지 않았지만 똑같은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DEX거래소에서 투자를 하시는 경우 비영구적 손실을 잘 공부해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비영구적 손실을 계산해 주는 계산기를 첨부하겠습니다.

 

 

함께 참고할 수 있는 포스팅

 

클레이스왑(KSP) 미래 가격 상승이 가능한 이유

최근 클레이스왑의 반감기가 찾아왔는데 갑자기 APR(연이율)이 많이 떨어진 것을 보고 놀라신 분들이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최근 FTX 사태로 인해 시장 상황도 안 좋은데 받던 채굴 보상도 반으

complex-space.tistory.com

 

클레이튼 원스톱 디파이 플랫폼 스왑스캐너 장점 6가지

해외에서 유명한 스카이스캐너라고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저가 항공권의 가격을 비교해주고 전 세계 항공권 예약까지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스왑 스캐너는 클레이튼 원스톱 플랫폼을 목

complex-space.tistory.com

 

미국 비트코인 ETF 투자 상품별 특징과 비교 - BITO, BTF, XBTF

미국 최초의 비트코인 기반 ETF로 가상화폐의 제도권 진입이라는 상직적인 의미가 있는 상품으로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비트코인 선물 지수를 추종하는 것이 특징인 비트코인 ETF 투자상품 세

complex-space.tistory.com

 

가상자산 과세제도의 문제점과 유예해야 하는 이유

1. 가상자산 과세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 1-1. 가상자산 과세 VS 금융투자소득세 형평성의 문제점 현재 금융투자소득세는 장기투자를 장려하기 위해서 투자 손실액을 5년간 이월해 공제할 수 있는

complex-space.tistory.com

 

비영구적 손실과 대응법
비영구적손실 대응법 알아보자

댓글

💲 추천 글